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etcd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, Golang을 통해서 etcd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
최근에 next.js를 공부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특정 페이지를 서버사이드 렌더링(SSR)으로 구현하거나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(CSR)으로 구현하는 경우가 있는데, 이번에 두 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.
내부적으로 Kafka를 다양한 용도로 써봤는데 개발하는 입장에서 사용하다보니 Kafka를 운영할 때 Zookeeper와는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서 이번에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Spring을 사용할 일이 점차 생기기 시작하고 있는데요,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스트레오 타입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