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olang에서 loop 레이블을 사용해야만 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loop 레이블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
Golang에서 Map은 자주 사용되는 자료구조 중 하나입니다. 하지만 Map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할 점들이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Golang에서 Map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하는 점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
해시 테이블에서 버킷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. 이 과정에서 리해싱(rehashing)이라는 작업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.
개발을 하다보면 해시 테이블(hash table) 자료구조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어떻게 동작하는지 옛날에 수업시간에 배웠었지만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다시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